오늘은 새로운 테마로 글을 적어본다
Slow Investor
주식으로 천천히 자산 증식을 원하는 투자자들을 말한다
Slow Investor는 다양한 방식으로 투자를 진행하지만
배당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번 편에는 국내 배당주다
현 글에 작성된 배당 수익률은 주로 2021년 배당 수익률을 기반으로 작성되어 있으니 참고하자
- 현재 국내 배당주 순위
우선 국내 배당주 순위를 알아보도록 해보자
아래 사진과 같이 국내 상장된 주식 혹은 ETF 중에서
배당 수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들이 나타나있다
주로 증권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신 증권의 경우 10% 넘는 금액으로 연 배당을 진행하고 있다
그럼 우리는 배당 수익률이 높은 위의 기업들에만 투자해야 할까?
우선 듀링이의 대답은 아니다
일시적으로 배당을 높게 주는 기업이 있는 반면
꾸준히 높게 주는 기업이 있다
'배당수익률 상위종목 더 보기' 항목을 누른다면
과거 3년간 배당금에 대해서 나오게 된다
예를 들어 씨앤투스나 엠브레인 등은 과거 배당금이 낮았지만
올해 처음이거나 혹은 조금 늘어난 기업도 존재한다
그렇다면 위의 표를 고려해서 배당금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 옳을까?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렸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주가는 항상 변하기 때문이다
가장 큰 예를 들어보자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 중 '한국쉘석유'라는 기업이 존재한다
윤활유나 구리스 등 석유류 관련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
꾸준히 배당 수익률이 증가하는 기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 기업의 10년간 차트를 확인해 보자
올해 배당수익률에 대한 공시가 나오지 않아
오른쪽 배당수익률이 N/A로 표시되었지만
전체적인 주가가 10년간 우하향한 모습을 보여준다
회사의 성장성이 나타나지 않는 기업에게서
배당 시기에 맞춰 높은 배당금을 수령하고 이탈하는 투자자가 많다는 뜻이다
그로 인해 10년간 주가가 하향하며
특히, 1년 배당이 지금 되는 배당락 시기에 엄청난 하락을 보여주기도 한다
즉, 배당금으로 얻는 수익보다 배당락으로 인한 나의 주가 하락이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배당금 투자를 하기 위해 어떤 기업을 골라야 할까?
우선 국내에는 꾸준히 높은 배당을 주는 기업은 많지 않다
그래도 그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기업을 몇 가지 소개해보고자 한다
- 맥쿼리인프라
많은 배당금 투자자들이 찾는 기업이다
참고로 듀링이 친구는 할아버지 기업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맥쿼리인프라는 국내 인프라 사업 중 민자사업이 결정되면
직접 투자하거나 투자한 기업에 융자를 내주는 방식으로 참여하는 기업이다
주로 고속도로, 일반도로, 터널, 교량, 항만 등에 다양한 투자를 하는 투자회사라고 생각하면 좋겠다
맥쿼리인프라는 반기 배당을 실시하고 있다
상반기/하반기를 나눠 배당을 진행하고 있고,
아래 표를 보면 5년간 배당 수익률을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 6%의 연 배당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저금리 시대에도 높은 배당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급 기준일 | 주당 배당금(월) | 배당 수익률 |
2018년 상반기 | 310 | 6.70% |
2018년 하반기 | 312 | |
2019년 상반기 | 350 | 6.00% |
2019년 하반기 | 350 | |
2020년 상반기 | 360 | 6.8% |
2020년 하반기 | 360 | |
2021년 상반기 | 370 | 5.60% |
2021년 하반기 | 380 | |
2022년 상반기 | 380 | 7.00% |
2022년 하반기 | 390 |
그렇다면 이번에는 주가 변화를 살펴보자
10년간 맥쿼리인프라의 차트를 확인해 보면
꾸준히 우상향을 하다 요 근래 금리 인상 시기에 겹쳐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체적인 우상향 그래프는 변화하지 않았고,
지금도 현 금리보다 높은 수준의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는 기업이기도 하다
정리를 하자면
맥쿼리인프라는 상반기/하반기에 걸쳐 배당을 지급하는 반기 배당 형식이며,
연 배당금은 5년간 약 6% 이상 지급되고 있다
또한, 주가도 우상향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국내 배당주로 매력이 높은 기업이라고 판단한다
- HD현대(전 현대중공업지주)
다음은 현재중공업지주에서 이름을 바꾼 HD현대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 혹은 유통업 등의 다양한 기업들이 존재하지만
이들 기업의 지분을 소유하고 경영하는 그룹사의 지주사가 배당 수익률이 높다
특히, 그중에서도 HD현대가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으로 뽑히는데
아래 표에서 나타나있는 것처럼 2017년을 제외하고
5% 이상의 배당 수익률을 지급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10% 배당 수익률을 지급하고 있다
그렇다면 HD현대 주가 변화를 살펴보자
10년간 HD현대 주가 변동을 보면 2017년에서 2020년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다
2020년부터 주가가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배당 수익률을 높이는 시점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는데
배당락에도 주가가 버텨내는 것을 보면 긍정적인 신호라고 생각된다
정리를 하자면
HD현대는 연 1회 배당을 지급하는 연 배당 형식이며,
연 배당금은 4년간 약 5% 이상 지급되고 있다
또한, 최근 6%, 10%의 배당금을 지급하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가도 2020년 이후 하락하는 모습이 멈추고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현시점에서는 매력적인 배당 투자를 위한 기업이라 생각된다
- 삼성계열사(삼성카드, 삼성증권)
현재 삼성 계열사에 있는 금융 관련주에서 배당금 지급액을 높이는 중이다
삼성 계열사 중 증권사는 삼성카드와 삼성증권이 있다
간단히 정리해서 말하자면
삼성카드는 연 배당을 진행하고 있으며, 약 7%대의 배당 수익률을 지급하는 회사이다
또한, 10년간 주가 변동폭이 크지 않으며, 오른쪽으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배당금 투자에 매력도가 높다고 생각된다
삼성증권도 연 배당을 진행하고 있으며, 약 8.46%의 배당 수익률을 지급하는 회사이다
10년간 주가 변동폭은 삼성카드와 유사하며
투자자들의 시장 유입 혹은 이탈에 따라 주가 변동이 소폭 나타나는 현상이 있다
하지만, 배당금 투자에는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하며 매력도가 높다고 생각된다
참고로 이번 삼성증권은 10.7% 배당 수익률을 지급하고 있다고 한다
삼성 계열사의 금융주 외에도
전체적으로 삼성 그룹사의 배당 매력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분기 배당을 처음 국내에서 실시하고 특별 배당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주와 달리 주가 변동이 높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 그 외 배당주
마지막으로는 증권사에 대해 소개하겠다
위 배당 수익률 상위 종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증권사의 배당 수익률이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증권사들은 부도가 나거나 적자가 형성될 여지가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여는 경우가 많다
다만, 다른 기업들에 비해 배당 수익률을 노리고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많아
배당락으로 인한 큰 영향을 보여줄 때도 있으니 참고하자(2021년 기준)
기업명 | 배당 수익률(%) |
동양생명 | 13.1 |
DB금융투자 | 11.5 |
NH금융투자 | 11.1 |
대신증권 | 10.8 |
삼성증권 | 10.7 |
한국금융지주 | 10.0 |
교보증권 | 9.0 |
현대차증권 | 8.5 |
다올투자증권 | 7.6 |
신영증권 | 6.8 |
한화투자증권 | 6.5 |
또한, 이 이외에도 기업들의 우선주 혹은 크레버스, 쌍용 C&E 등의 기업들도
높은 배당 수익률을 가지고 있으니 참고하자
- 마무리
듀링이 개인적으로 배당주 투자는
배당락 전에 투자하는 게 아닌 연초에 진행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연초에는 배당락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했으며,
Slow Investor에 걸맞게 천천히 주가 상승과 높은 배당 수익으로
자산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좋겠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During Stock > Slow Inves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과 주식 수익을 함께 보자!!! - Slow Investor(버라이즌, 코카콜라, 리얼티인컴) (0) | 2023.02.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