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콘텐츠로
한 주 주식 시장을 되돌아보며 정리하는 시간을 준비하였다
콘텐츠 목차로는
- 이번 주 코스피 및 코스닥 변동 사항 -
- 이번 주 큰 이슈 사항 -
으로 진행하면서 하나씩 정리해보자!!

- 이번 주 KOSPI와 KOSDAQ
우선 첫 번째로 KOSPI를 알아보자
2022.06.03 기준 현재 코스피는 2,670.65로
2021.08.05 기준 3,296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아직까지 우하향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고점을 기준으로 계속적으로 고점이 낮아지고 저점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 보조선의 저점 영역을 터치하고 보조선의 고점 영역으로 다가가는 중에 있으며,
코스피의 차후 횡보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듀링이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만약 고점을 뚫고 강한 반등을 나타낸다면 120일 선을 터치 후
보조선 고점 영역보다 윗부분에서 잠시 조정이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보조선의 고점을 뚫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보조선 저점 영역을 다시 터치하기 위한 하락장이나 횡보 조정이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다음은 KOSDAQ을 알아보자
2022.06.03 기준 현재 코스닥은 891.51로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고점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코스피에 비해 다행인 부분은 코스닥의 저점은 약 840 부근에서 지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코스닥의 보조선이 한 점으로 수렴하는 시기가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두 보조선의 서로 근접해지는 시기가 되었을 때,
코스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코스닥에서 높은 시총을 이루는 기업들은 주로 바이오 기업으로
앞으로 있을 원숭이 두창 관련 이슈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까 생각한다
예상되는 수렴 시기와 해당 질병의 유행 시기가 겹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전 코로나19와 동일한 규모는 아니었으면 좋겠다..
우선 두 지표의 보조선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시총 차이이다
즉, 코스닥의 시총 규모가 코스피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동일 시간 대비 코스피의 변동성보다 코스닥의 변동성이 크고
우리가 지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변동성에 반비례하게 방향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코스피에 비해 코스닥의 보조선의 길이와 기간이 짧은 것이다
- 이번 주 주요 이슈
1. LG 5000억 자사주 취득
LG 지주사를 보유하고 계신 분들에게 엄청난 호재가 나왔다
LG가 주주가치 재고를 위해 5000억 원어치 자사주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2020년 초 발표한 배당 정책에서
'배당금 수익을 한도로'라는 문구를 제거하는 개선안을 발표하며
보다 안정적인 배당 재원을 유연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삼성전자의 작년 분기배당 이후에
국내 대기업에서 실시하는 대규모의 주주환원 정책이다
아직 미국의 기업들처럼 배당과 자사주 소각 등의 주주환원 정책이 부족하지만
이러한 대기업들이 앞서 진행한다면 다른 기업들도 바뀌지 않을까 생각한다
어찌 되었든 당일 LG 주가는 10% 가까이 급등하게 되었다
LG 주식을 가진 분들에게는 축하 인사를 보낸다!!
2. OPEC PLUS의 원유 증산
우크라-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원유 가격이 급등했다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한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 제한 조치가 그 이유이다
전쟁 초기 당시 WTI 기준 약 150달러까지 올라갔지만, 현재는 많이 조정되었다
현재 높아진 원유는 세계 경제에 인플레 위험을 주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이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진행했다
그 결과 산유국의 모임인 OPEC PLUS에서 기존 석유 증산 규모에서
추가 50%를 증산하겠다고 밝혔으며, 미국 또한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와 관계를 우호적으로 바꾸려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발표에도 WTI 가격은 잠시 하락했으나...
다시 당일 기준 1.4% 올라 116.87달러로 마감하였다
그 이유는 미국의 원유 재고가 시장 예상인 130만 배럴을 훨씬 뛰어넘어
510만 배럴 감소했다는 발표로 인해 WTI 가격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또한,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뉴욕 컨퍼런스에서
우크라-러시아 전쟁으로 유가가 17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예측을 하며
시장의 변동성에 불을 지피기도 했다
3. 상하이 봉쇄 해제
드디어 중국의 상하이 봉쇄 해제가 시작됐다
중국 당국의 22.03.17 상하이 봉쇄를 시작으로
22.05.30에 상하이 봉쇄를 전면 해제했다
중간에 부분적인 해제를 진행했지만, 그 효과는 미비했었다
중국은 현재 상하이를 포함한 주요 도시에 대한 봉쇄로 인해
경제 성장률에 크게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중국 당국이 발표한 5.5% 목표치는 물론이고 5% 이하로 내려갈 것이라는 분석도 많다
그 이유는 현재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봉쇄로
중국의 소매판매 증가율이 3월, 4월 모두 마이너스로 악화되었으며,
PMI(제조업 구매지수) 또한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이러한 제로 코로나로 중국만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다
중국은 낮은 임금의 노동자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의 원자재에 단가 경쟁력을 갖춘 국가이다
즉, 상하이와 주요 도시 봉쇄로 인해 전 세계에 수출될 물품이 정지되었고
그로 인해 주변국들을 포함한 전 세계의 인플레이션에 가속화를 밟았다
그래도 중국 당국의 시진핑 3 연임을 위해 장기간 봉쇄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과 달리
전반적인 경제 위기를 감당하지 못해 일찍 해제했다는 점에서 다행이다
하여튼 중국 당국의 상하이 봉쇄 해제로
당일 유럽과 미국 주식은 크게 상승하였다
4. 삼성전자
국내에서 가장 큰 시총의 주식은 삼성전자이다
삼성전자가 움직이면 그날 코스피 또한 동일하게 움직이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런데 그 삼성전자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 이재용 부회장의 네덜란드 출장
- 삼성전자 인수합병 진행
두 가지 뉴스가 2일 연속 나타났다
우선 이재용 부회장의 네덜란드 출장은 ASML 방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얼마 전 삼성전자의 450억 투자 발표 후
반도체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인 EUV 노광장비 공급을 위한 협의로 ASML을 방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단, ASML은 반도체 노광장비 회사로 실질적인 갑에 위치한 회사이다
EUV 장비를 단독 판매하는 회사이기도 하며 삼성전자와 TSMC 등의 대기업 등에 납품한다
하지만, EUV 100대를 가진 TSMC에 비해 삼성전자는 15대에 불과하고
미국 텍사스에 위치한 파운드리 생산라인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EUV 추가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이재용 부회장이 직접 AMSL을 방문했으며, EUV 장비 공급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생각된다
삼성전자 인수합병에 관한 정확한 기업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대형 인수합병(M&A)을 예고했으며,
예상되는 회사로는
미국의 파운드리 기업인 글로벌파운드리(GF),
산업용 로봇업체인 일본 화낙 또는 스위스 ABB와
네덜란드 반도체 업체 NXP를 뽑는다
아직 정확하게 밝힌 내용은 없지만!!
어느 기업이든 엄청난 이슈임에는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뉴스 당일 삼성전자가 소폭 상승했으나
다음 날 다시 상승분을 반납하는 사태도 발생했다
그래도 듀링이는 삼성전자는 정말 저평가 주식이라고 생각한다
이상 이번 주 주식 이슈들을 취합해 보았다!!
이러한 이슈 이외에도
- 강한 고용 지표에도 뉴욕 증시 하락
- 일론 머스크의 직원 10% 감원(추후 발언 수정했음)
- 애플 앱스토어 성장 둔화로 인한 단기 실적 악화 예상
- 우크라이나 차관 방한으로 관련 주식 강세
- 한국 전국 동시 지방선거
등이 있다
지난주 나스닥이 크게 상승하면서
우리나라 코스피와 코스닥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 기대치에 부합하지 않는 소폭 상승으로 끝난 것 같아 아쉽다
이번 주 나스닥이 반등하려다 다시 내려오면서 마감했지만
다행인 부분은 현충일로 인해 국내 장에서 영향이 미비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 주는 현충을 제외한 4일만 주식장이 열린다
선물/옵션 마감일이 존재하지만
크게 변동 없이 상승하는 장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만 빠용!!

'During Stock > Week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7.04 ~ 22.07.08) (0) | 2022.07.10 |
---|---|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6.27 ~ 22.07.01) (0) | 2022.07.04 |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6.20 ~ 22.06.24) (0) | 2022.06.26 |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6.13 ~ 22.06.17) (0) | 2022.06.19 |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6.06 ~ 22.06.10)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