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링이의 주식 Weekly
23년부터 다시 시작해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듀링이가 사용하는 증권사가 바뀌었다
HTS의 기능이나 참고 지표들이
삼성증권에 비해 키움증권이 편리하여 변경하였다
2023년 주식 첫 시작!!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 KOSPI와 KOSDAQ
2023년 첫 주 KOSPI와 KOSDAQ을 알아보자
KOSPI는 2023.01.06 기준 2,289 포인트
KOSDAQ은 2023. 01. 06 기준 689 포인트
로 지난주 대비 KOSPI +53 포인트, KOSDAQ +10 포인트 상승 마감하였다
또한, 지난주 대비 KOSPI에서 외국인의 큰 매수세가 있었으나
KOSDAQ에는 개인의 큰 매수와 기관의 매도가 함께 더해졌다
이번 주 미국 제조업 관련 지수와 FOMC 회의록 공개에 더해
시장 기대치와 다소 차이가 나는 실업률에도 선방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마지막 금요일 미국 시장은 크게 반등하며
월요일 한국 시장의 상승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KOSPI와 KOSDAQ 그래프를 통해 한 번 확인해 보자
KOSPI는 지난해 고점을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검은색 추세선을 따라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10월과 11월 기술적 반등(살짝 반등) 하는 모습을 보이며
직전 고점인 2,500 부근에서 저항을 받아 내려오는 중이다
현재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면
다음 주 혹은 이번 달 직전 저점인 검정색 추세선의 이탈 혹은 지지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OSDAQ은 지난해 고점을 기록하고 지속적으로
검은색 추세선을 따라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KOSPI와 다른 부분이라면 하락 추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아직 검은색 추세선의 상단을 뚫지 못하고 현재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KOSDAQ의 중요한 부분은
직전 저점인 2,180 부근을 지지해주는지가 중요하다
KOSPI와 다른 점이라면 KOSPI는 저점을 다진다는 느낌이지만
KOSDAQ은 저점을 버텨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느낌이다
- 풋옵션과 콜옵션
이번에는 KOSPI의 풋옵션과 콜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로 풋옵션과 콜옵션은 매주가 아닌 매달 초에 알아보도록 하자
옵션의 만기 자체도 일반적인 지수 변동에 비해 길고
지수의 월 단위의 추세를 고려하는 요소이므로
일일 혹은 주 단위의 추세를 알아볼 때 오히려 방해요소가 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KOSPI의 콜옵션 차트는 아래와 같다
외국인의 기관의 콜옵션 매수금액 추세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 KOSPI의 콜옵션 매수 금액이 현재 더 높게 나타나긴 하지만
2023년 1월 들어 강한 매도세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된다
KOSPI의 풋옵션 차트는 아래와 같다
앞선 콜옵션과 마찬가지로 외국인과 기관의 매매 동향 차이가 나타나지만
외국인 KOSPI 풋옵션의 매도세가 1월 들어 강해지는 것으로 나온다
12월 들어 외국인의 KOSPI 콜옵션 매수와 풋옵션 매수가 잠시 크게 변동되었지만
1월 들어 그 추세가 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선 외국인의 콜옵션 매수가 잠시 꺾이고, 풋옵션 매도가 증가하는 상황은
KOSPI가 추가적인 하락이 보일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1월 말까지 앞선 차트와 겹쳐 KOSPI의 단기 바닥 다지기를 보이는 상황이기에
콜옵션과 풋옵션의 매수 혹은 매도가 다음 주에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면 좋을 것 같다
만약 지속적으로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아마 KOSPI 차트의 검은색 추세선을 지지하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
- 이번 주 주요 이슈
1.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상증자
2023.01.03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제 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했다
단순하게 로봇 관련 기업이 유상증자를 했다면 큰 이슈가 되지 않았지만
삼성전자가 제 3자로 배정되는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큰 상승과 이슈가 되었다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란
'기존 주주 외에 제 3자에게 증자주식을 배정하는 유상증자의 방식'으로
앞선 글에 유상증자 관련 글을 작성했으니 시간이 된다면 확인해 보자
2022.07.06 - [During Stock/Terms] -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 유상증자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 유상증자
오늘은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에서 '유상증자'에 대해 공부해볼 시간이다 앞선 IPO와 무상증자에 관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2.06.29 - [During Stock/Terms] -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 IPO(
during-22.tistory.com
유상증자의 형태나 혹은 기업의 지분 투자를 하거나
중견,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의 투자는 자주 일어난다
하지만, 국내 최고 기업인 삼성전자가 진행했다는 점에서 큰 이슈가 되었다
'삼성전자가 로봇에 투자할 계획이구나'가 아닌
'삼성전자가 지향하는 로봇의 형태가 무엇인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일반적인 자동화 로봇이나 산업용 로봇이 아닌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특히 이족보행과 의료용 로봇 등에 특화된 기업이다
기업에 대해 더 공부하고 확인해봐야 하겠지만
삼성전자가 생각하는 미래 시스템은 현재 판매되는 가전제품이나
고령화에 따른 의료용 로봇으로 발전하기를 목표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2. 테슬라 추가하락
테슬라가 22년 12월 들어 엄청난 하락을 하는 중이다
분명 12월 초에 194 달러였던 주가가 현재 113 달러까지 수직하강하고 있다
듀링이가 생각하는 테슬라의 큰 하락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오너 리스크
2) 트위터 리스크
3) 차량 생산량/인도량 예상치 미달
4) 중국에서 판매가격 하락
개인적으로 테슬라는 이제 저평가라고 생각한다
오너 리스크와 트위터 리스크는 인수 자금 조달에 따라 주식에 잠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치보다 생산량과 인도량이 작다는 이유로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것은 과도하다 생각한다
2022년에만 테슬라는 인도량 40%, 생산량 47% 성장했다
물론 이번 달 실적 발표에 따라 결과가 나오겠지만, 컨센 하회라는 이유로 큰 하락은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FOMC 의사록과 실업률
2023.01.05 ~ 01.06
미국 FOMC 의사록과 실업률이 공개되었다
미국 FOMC 의사록을 요약하자면
1) 확실하게 안정화된 인플레이션
2) 미국의 고용시장은 탄탄하다
3) 올해 금리 인하를 고려하는 위원은 없다
4) 시장이 생각하는 것보다 높은 금리가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4가지로 볼 수 있다
직접 회의록을 보고 혹은 다른 글을 참고하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으니
듀링이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판단하지는 말자!!
다음으로 실업률이다
미국 12월 실업률이 3.6%로 컨센 예상치인 3.7%보다 낮게 나왔으며
비농업고용지수도 223K(예상 220K)로
미국의 노동 시장은 매우 강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미국 평균 시간당 임금은 전월 대비 0.3%(예상 0.4%), 전년 대비 4.6%(예상 5.0%)로
미국 임금 시장은 다소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두 상반되는 지표로 인해 다소 시장이 혼란스러웠지만
금요일 저녁 나스닥 시장은 크게 상승 마감하며
악재를 호재로 인식해 마무리가 되었다
오랜만에 Weekly를 작성하다 보니
글이 너무 길어진 것 같다
많은 내용을 작성하고 싶다 보니 그랬지만 ㅠㅠ
다음에는 조금 요약해서 가져오도록 하겠다!!
그럼 안뇽~

'During Stock > Week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링이의 주식 Weekly(23.01.16 ~ 01.20) (0) | 2023.01.22 |
---|---|
듀링이의 주식 Weekly(23.01.09 ~ 01.13) (0) | 2023.01.15 |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8.01 ~ 08.05) (1) | 2022.08.07 |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7.25 ~ 22.07.29) (0) | 2022.08.01 |
듀링이의 주식 Weekly(22.07.18 ~ 22.07.22) (1)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