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ing Stock/Weekly

듀링이의 주식 Weekly(23.01.16 ~ 01.20)

듀링이 2023. 1. 22. 21:54
728x90
반응형

듀링이의 주식 Weekly

오늘은 2023년 1월 16일부터 20일까지

주식 시장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다

 

글에 앞서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KOSPI와 KOSDAQ

이번 주 KOSPI와 KOSDAQ 지수 변동에 대해 알아보자

KOSPI는 2023.01.20 기준 2,395 포인트

KOSDAQ은 2023.01.20 기준 717 포인트

로 지난주 대비 KOSPI 0.38%, KOSDAQ 0.87% 상승 마감하였다

 

또한, 다음 주 한국 증시가 수요일 개장이 될 예정인데

금요일 미국 S&P와 NASDAQ이 각각 1.89%, 2.66% 상승 마감하여

수요일 한국 시장은 상승으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설 연휴로 인해 월요일, 화요일 휴장)

 

지난주 대비 KOSPI는 외국인이 1월부터 꾸준히 매수하는 모습이 나타났고

기관 중 금융투자 기관에서 대량의 매도가 나오는 것이 확인되었다

 

KOSDAQ의 경우 외국인 매수/매도가 번갈아가며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관은 1월부터 꾸준히 매도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KOSPI KOSDAQ
지난 주 이번 주 지난 주 이번 주
종 가 2,386.10 2,395.26 711.8 717.97
변동률 0.38% 0.87%

< 2023.01.16 ~ 01.20 지수 변동 내역 >

 

  KOSPI KOSDAQ
개인 외국인 기관 개인 외국인 기관
지난 주 -27,262 17,476 9,887 2,857 -174 -2,120
이번 주 -7,202 13,551 -6,100 2,453 2 -1,594
변동량 -34,464 31,027 3,787 5,310 -172 -3,714

< 2023.01.16 ~ 01.20 투자자 변동 내역 >

 

 

그럼 KOSPI와 KOSDAQ 그래프를 통해 확인해 보자

 

KOSPI(코스피) 그래프

 

KOSPI는 아직 검은색 횡보하는 추세선을 벗어나지는 않았다

잠시 주춤하는 하락을 했지만, 금방 반등하여 지난주 대비 상승 마감하였으며,

전고점을 향해 상승하는 상황인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주와 동일하게

검은색 횡보하는 추세선의 상단을 터치 유무를 주의 깊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KOSDAQ(코스닥) 그래프

KOSDAQ은 KOSPI의 상승에 따라가는 추세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검은색 횡보하는 추세선 내부에서 큰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앞서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에도 지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KOSDAQ 자체 상승이 아닌 KOSPI의 상승 기차에 무임승차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다만 지난주와 다르게

저점 터치 여부가 아닌 KOSPI와 동일하게 추세선 상단을 터치할 수 있는지

주의깊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지난주 미국 CPI 발표 이후 월요일 PPI 발표로

MoM -0.6%(예측 -0.1%), YoY 6.2%(예측 6.8%)로  예측보다 좋게 나타났지만

시장은 경제 침체 시작이라 받아들이면서 하락 마감하였다

하지만, 금요일 장에서 미국 증시가 크게 상승 마감하며 다음 주 기대감이 충분한 상황으로 보인다


  • 이번 주 주요 이슈

          1. 비트코인 급등?

 

비트코인이 2021년 말 68,000 달러를 달성한 이후

2022년 내내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났다

 

연준의 긴축,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 코인 거래소의 부도, FTX 사태 등으로

비트코인을 포함한 리플, 이더리움 등의 코인도 함께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하지만, 2023년 들어오면서 비트코인의 반등이 시작되었는데

연준의 긴축 완화와 FTX 청산에 따른 유동성 확보 등이 그 이유로 나오고 있지만

듀링이는 코인에 관해서는 정확한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이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아래 BTC/USD 주봉을 확인해 보면

약 16,000 달러에서 현재 22,000 달러까지 급격한 상승을 하는 모습이 보이지만

듀링이의 개인적인 생각은

앞으로 있을 비트코인 반감기나 마운트곡스 해킹 배상금(비트코인으로 지급됨)이

올해 가상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대규모 매도 물량으로 인해 급락이 시작된다면

그때는 조금씩 매수해도 괜찮지 않을까 조심히 생각해 본다!!

 

비트코인 주봉

 

          2. 미국 기업 실적발표

 

2022년도 4분기와 2022년도 미국 빅테크 기업의 실적 발표가 시작되었다

지난주 CPI 발표에서 이어

이번주와 다음 주는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표가 발표되는 상황이 아니며

다음 주에는 FOMC 회의에 앞서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제한되는 블랙아웃 기간이기 때문에

기업들의 실적이 주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크게 넷플릭스와 모건스탠리, JP모건, 골드만삭스 등이 실적을 발표했다

(괄호 안에 작성된 숫자는 시장 예상치이니 참고하자)

 

우선 넷플릭스는 실적이 암울했다

매출이 7.85B(예측 7.84B)에 비해 주당 순이익이 0.12(0.59)

지난 분기 대비 엄청난 하락을 해버렸다

 

하지만 주가는 상승했다

??

 

OTT 기업의 경우 실적과 주당 순이익도 중요하지만

결국 신규 가입자수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미국 월가에서는 이번 분기 신규 가입자수가 457만 명으로 예측했으나

766만 명으로 예측을 상회하였다

이러한 예측을 넘는 신규 가입자수가 넷플릭스의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보면 되겠다

 

넷플릭스 실적

 

월가의 은행들인 모건스탠리, JP모건, 골드만삭스는 희비가 엇갈렸다

모건스탠리매출 12.7B(12.54B), 주당 순이익 1.31(1.29)

JP모건매출 34.55B(34.35B), 주당 순이익 3.57(3.08)

골드만삭스매출 10.59B(10.79B), 주당 순이익 3.32(5.56)

 

모건스탠리, JP모건, 골드만삭스 실적

 

모건스탠리와 JP모건은 시장 예측치에 부합하거나 높은 매출과 주당 순이익이 발표되어

증시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반면, 골드만사가스는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에 못 미치는 결과가 발표되어

6% 이상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처럼 시장의 주요 지표 발표가 없는 시기에는

기업의 실적이 기업의 주가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같은 업종에서도 크게 희비가 나뉘는 현상이 발생하니 참고하자!!

 

          3. 일본 BOJ의 YCC 정책 유지

 

미국은 FOMC

한국은 금융통화위원회

일본에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각 국가의 기준금리를 정한다

 

이번 주 일본 금융정책결정회의 결과로 일본 중앙은행(BOJ)에 의하면 

기준금리를 현상 유지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즉, YCC(Yield curve control) 정책을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방향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우선, YCC 일본 10년 만기 국채금리 수익률을 0%로 유지하되 위아래 0.5%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움직이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말한다

즉, BOJ에서 금리 조정을 위해 무제한으로 채권을 매입하고

시장의 달러를 풀어 엔화가치의 급락과 인플레이션을 조정하는 게 목적이다

 

얼마 전 일본 BOJ에서 단기 국채 금리는 -0.1%로 유지하되

원래 국채금리 수익률의 범위를 0.25%에서 0.5%로 범위를 상향 조정하며

사실상 금리 인상이라는 뉴스와 함께 전 세계 시장이 흔들리기도 했었다

(참고로 일본이 전세계 달러 보유 세계 2~3위를 다투는 나라이다)

 

BOJ에 오랜 기간 유지한 저금리 기조를 깨고 긴축적인 스탠스로 바뀌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상황에

이번 일본 금융정책결정회의 결과가 크게 조명받았지만

YCC 정책 유지 한다는 입장이 발표됨에 따라 일본 증시가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일본의 저금리 기조 유지가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에도 중요하다

그 이유는 실질적인 일본의 긴축으로 금리 인상이 발생하면

엔화 가치가 급등하고 일본 기업들의 글로벌 가격 경쟁력의 악화로 인해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들에게 단기적인 호재로 볼 수 있지만,

긴축에 따라 한국 시장에 있는 자금들의 외화 유출로 인해 시장의 하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BOJ 총재인 구로다가 4월에 퇴임 예정임에 따라

YCC 정책 폐지로 가닥이 잡히는 상황이며 본격적인 긴축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도 존재한다

 

듀링이의 개인적인 생각은 초디플레이션에 시달린 일본이

현재 4% 대의 물가 상승률로 인플레이션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YCC 정책을 장기간 유지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YCC 정책의 폐지에 따라 엔화 가치가 급등하는 것을 대비할 필요성은 있다고 생각하며

지금 엔저 현상에 탑승하는 것도 좋은 투자라고 감히 생각한다

 


  • 마무리

지난주 증시에 큰 지표 발표는 없었지만

여러 뉴스들이 존재했다

위의 3가지 큰 뉴스 이외에도

중국 GDP 예상보다 하회

UAE 300억 달러 한국 투자

가 존재했다

 

아마도 다음 주도 지표의 발표보다는

기업의 실적과 투자 뉴스 등이 주된 사항이라고 생각되며

2주 뒤 있을 FOMC 회의에 앞서 미리 준비를 해보자

 

그럼 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