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ing Stock/Weekly

듀링이의 주식 Weekly(23.01.30 ~ 02.03)

듀링이 2023. 2. 4. 17:24
728x90
반응형

듀링이의 주식 Weekly

2023년 1월 30일부터 2월 3일까지

주식 시장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다

 

이번 주 FOMC 회의에 앞서

시장의 혼조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주식 시장은 어떻게 반응했으며!!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 KOSPI와 KOSDAQ

 

이번 주 KOSPI와 KOSDAQ 지수 변동에 대해 알아보자

KOSPI는 2023.02.03 기준 2,480 포인트

KOSDAQ은 2023.01.27 기준 766 포인트

로 지난주 대비 KOSPI -0.15% 하락 마감하였으며, KOSDAQ 3.81% 상승 마감하였다

 

KOSPI가 소폭 하락했지만, KOSDAQ이 상승 마감하며 다음 주 기대감을 가질 수 있었다

다만, 금요일 저녁 미국 NASDAQ -1.59%, S&P 500 -1.04%, 다우존스 -0.38% 하락 마감하며

크게 1주일 단위로 상승했던 미국 시장이 마지막 금요일 하락 마감해 아쉬움이 남아있다

 

또한, 금요일 미국 NASDAQ도 상승 마감하여

월요일 한국 시장은 상승으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참고로 오늘 한국 시장은 상승 시작 후 조정을 받으며 하락 마감하였다 ㅠㅠ)

 

KOSPI는 4주 연속(1월 내내) 외국인의 강력한 매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외국인의 3조가 넘는 자본에도 KOPSI의 종가는 지난 주 대비 -0.15% 하락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KOSPI가 2,500 포인트 부근에 근접할 때마다 국내 기관의 매크로적인 매도로 인해 저항선을 뚫지 못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KOSDAQ은 이번 주 외국인의 강력한 매수세에 힘입어 KOSPI와 달리 3.81%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약 4주동안 KOSPI에 비해 KOSDAQ의 상승폭이 시가 총액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외국인의 강력한 매수세가 더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지만,

이번 주는 외국인의 강력한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KOSPI는 이기는 상승세가 나타났다

 

  KOSPI KOSDAQ
지난 주 이번 주 지난 주 이번 주
종 가 2,484.02 2,480.4 738.62 766.79
변동률 -0.15% 3.81%

< 2023.01.23 ~ 01.27 지수 변동 내역 >

 

  KOSPI KOSDAQ
개인 외국인 기관 개인 외국인 기관
지난 주 -30,273 23,742 4,980 -3,858 2,884 1,843
이번 주 -3,172 30,017 -22,242 895 26,482 -13,495
2주 누적 -33,445 53,759 -17,262 -2,963 29,366 -11,652

< 2023.01.23 ~ 01.27 투자자 변동 내역 >

 

 

그럼 KOSPI와 KOSDAQ 그래프를 통해 확인해 보자

 

KOSPI(코스피) 그래프

 

KOSPI는 현재 횡보하는 검은색 추세선 상단에 닿아 뚫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검은색 추세선 상단부는 약 2,500 포인트로 앞서 말한 내용처럼 기관의 매크로 매도세에 의해

저항을 받아 2주 연속 뚫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음 주 KOSPI는 금요일 미국 시장의 하락에 따라 KOSPI도 2,500 포인트에서 저항을 받고 내려올 것으로 예상되며,

또다시 2,500 포인트에 근접한다면 추세를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만약, 2,500 포인트를 뚫지 못하고 2,400 포인트 밑으로 하락한다면

잠시 수익권에 있는 주식을 팔고 22,00 포인트 부근에서 다시 매수하는 것을 추천한다

(일반적으로 종목은 지수에 비해 많이 하락하고 많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참고하자)

 

KOSDAQ(코스닥) 그래프

 

KOSDAQ검은색 추세선 상단을 뚫고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주 KOSPI과 함께 검은색 추세선 상단을 뚫고 올라가는지 지켜보았지만,

외국인의 강력한 매수세와 함께 KOSDAQ만 뚫는 모습이 나왔다

 

지난 주 듀링이의 예상과 달리 KOSPI에 비해 KOSDAQ이 먼저 추세 변동을 이끌었다

다만, 추세 변동의 시작점이기에 현재 추세가 꺾일 여력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추세선의 상단을 뚫는 경우 지지라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월 동안 KOSDAQ이 현재 상단 부근을 지지하고 유지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 생각된다

 

 

정리하자면!!!

KOSPI는 외국인의 강력한 매수세에도 기관의 매크로 매도세에 의해 2,500 포인트를 쉽게 뚫지 못했으며,

KOSDAQ은 전에 없던 외국인의 강력한 매수세에 추세선 상단을 강하게 뚫어내는 것을 성공했다

다음 주 월요일 한국 시장은 미국 시장의 하락으로 인해 좋지 않은 시작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KOSPI의 추세선 상단(2,500 포인트)를 재차 터치하고 뚫는지가 중요하며,

KOSDAQ은 추세선 상단을 지지하고 유지할 수 있는지도 중요하다

또한, KOSDAQ 상승이 KOSPI의 상승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도 중요하며,

상승을 이끌지 못했을 때에는 더 큰 하락이 발생될 수 있으니 어느정도 대비를 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 풋/콜옵션과 선물

이번에는 KOSPI의 풋옵션과 콜옵션, 선물에 대해 알아보자

1월을 마감하고 2월을 시작하며 풋옵션과 콜옵션의 변동 사항을 정리해본다

1월 초 이야기했던 것 처럼 옵션 거래는 만기가 정해진 금융상품으로

투자자들이 만기까지 한국 시장의 상승 및 하락 추세에 어떻게 생각하는지 힌트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매일매일 보는 것보다는 주단위 혹은 월단위로 보는 것을 추천한다

추가로 시장의 변동성 파악을 위해 코스피 선물도 함께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KOSPI의 1월 콜옵션 차트는 아래와 같다

 

KOSPI 누적 콜옵션 동향

 

1월 콜옵션은 주로 외국인이 시장을 주도했던 것과 달리

2022.12.09 직전 옵션 만기일 이후 지속적으로 콜옵션을 매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 매도세도 기관에 비해 강하게 매도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개인은 강하게 지속적으로 매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로 1월 옵션 만기일에 그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2023.01.12 이후 개인은 강하게 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강하게 매도하며

이후 만기일가지 개인은 지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외국인과 기관은 만기일까지 지수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KOSPI의 1월 풋옵션 차트는 아래와 같다

 

KOSPI 누적 풋옵션 동향

 

1월 풋옵션은 외국인과 기관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콜옵션에서 기관이 강하게 매도했지만, 풋옵션에서는 강하게 매수하는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은 콜옵션과 풋옵션 모두 매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만기일까지 기관은 주가가 크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외국인은 주가 변동과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옵션 시장에서 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KOSPI의 1월의 선물 차트는 아래와 같다

 

KOSPI 누석 선물 동향

 

1월 선물 시장은 주가 변동에 따라 크게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2023년 1월 이전에 외국인의 강한 선물 매도가 있었으나, 1월 이후 강한 선물 매수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반대로 기관은 2023년 1월 만기일(23.01.12)까지 강하게 매수했으나, 포지션을 변경하여 매도하며 외국인과 반대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로 코스피 선물만기일은 2023.03.09이다

만기일이 한 달 정도 남은 시점에서 외국인의 강한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지는 모르나

현재 외국인의 포지션은 지수 상승을 예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자면!!

현재 시장 변동성의 주체는 외국인과 기관이다

콜옵션과 풋옵션에서 기관은 지속적으로 매도와 매수로 지수 하방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고

외국인은 옵션 시장에서 전체적으로 매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듀링이의 개인적인 생각이라면

현재 시장 금리 차이로 인한 외국 자본의 유출이 옵션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다만, 선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의 포지션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선물 시장은 옵션 시장에 비해 유동성이 크고, 단기간에 변하는 변동성도 크기 때문에

현재 포지션이 외국인이 만기일(2023.03.09)까지 유지될 수 있을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 이번 주 주요 이슈

 

          1. 애플 실적과 메타 자사주 매입(빅테크 실적)

 

2022년도 4분기 빅테크들의 실적이 발표되었다

Investing을 통해 몇몇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이 몇 주간 발표되고 있어 정리해보았다

이번 주 나스닥은 3.24% 상승 마감하였고, 이에 비해 낮은 상승률은 기록한 종목은 넷플릭스였다

그 이유는 며칠 전 넷플릭스는 실적 발표가 진행되었던 사항도 있었지만, 구독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크게 상승하였고

현재는 그 상승분을 조금 반납하는 모습도 보인다고 생각한다

 

반면 예측 매출 또는 주당순이익에 비해 낮은 수치를 기록한 기업들은 어떻게 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부 상승했다

특히, 예측치보다 매출, 주당순이익이 높게 나온 AMD의 경우 14.18%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ASML의 경우 실적이 발표된 후 2주 이상 지나 이번 주 변동에 반영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시장의 예측치와 다르게 실제 매출이나 주당순이익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예외적으로 메타 플랫폼스의 경우 22.93% 상승했지만, 시가 총액에 10%나 되는 금액의 자사주 매입에 힘입어 올라간 것이기에 논외로 하자

 

전체적으로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동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FOMC 회의 결과에 의해 지표보다 전체적으로 주가가 높게 상승하였지만,

실제 실적이 뒷받침이 된다면 유동성이 몰리며 더 크게 상승하는 경향이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빅테크 실적 정리     (단위 : 달러)
종목명 매출 주당순이익 이번 주 변동
실제 예측 실제 예측
애플(APPL) 117.2B 121.88B 1.88 1.94 5.87%
알파벳 A(GOOGLE) 76.05B 76.07B 1.06 1.18 5.44%
마이크로소프트(MSFT) 52.7B 53.12B 2.32 2.3 4.11%
인텔(INTC) 14B 14.57B 0.1 0.22 7.67%
AMD(AMD) 5.6B 5.52B 0.69 0.67 14.18%
ASML(ASML) 7.01B 6.74B 5.02 4.62 1.83%
넷플릭스(NFLX) 7.85B 7.84B 0.12 0.59 1.42%
테슬라(TSLA) 24.32B 24.68B 1.19 1.15 6.79%
메타 플랫폼스(META) 32.17B 31.53B 1.76 2.26 22.93%

 

          2. FOMC 회의!!

 

한국 시간으로 2023.02.02 새벽에 FOMC 회의가 진행되었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시장은 당일 크게 상승 마감하였다

다우 0.02%, S&P 500 1.05%, 나스닥 2.00%로 주로 성장 및 테크주가 주를 이루는 지수에서 크게 상승하였다

 

FOMC 회의 결과는 우선 미국의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려 4.50% ~ 4.75%로 인상하였다

물론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기준금리이지만, 지난 12월에 이어 추가로 금리 인상 폭을 낮췄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단순 기준금리 발표로 시장이 크게 상승하지는 않았다

연준(Fed) 의장인 제롬 파월의 기자회견에서 시장이 크게 반응하였다

"고용시장은 여전히 강하고 주택을 제외한 제품에 대한 인플레이션을 확실하게 잡았다고 할 수 없다"

라는 발언과

"금리 인상은 추가적으로 몇 회 더 진행될 예정은 있으나 인플레이션이 현재 완화되는 과정의 초입이며, 이는 디스인플레이션 상황이다"

라는 발언에 시장이 크게 반응하였다

 

여기서 디스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통화증발을 억제하고 재정, 금융긴축을 주축으로 하는 경제조정정책"으로 

쉽게 말해 상승한 물가를 원래의 수준으로 복귀시키는게 아니라, 실업률을 유지하며 물가를 현재 상태로 유지하려는 정책이다

다만, 여기서 파월 의장의 디스인플레이션 발언은 코로나 이후 풀린 통화량으로 인한 초고속 인플레이션이 다소 진정되고 있는 국면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풀이가 된다

 

연준 의장의 비둘기파적인 발언으로 시장은 호재로 인식했고, 당일 기자회견에서 크게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물론 FOMC 회의 이후에 발표된 지표(평균 임금, 제조업 지수) 등이 나쁘게 나와 지수가 소폭 하락했지만,

다음 FOMC 회의까지 약 50일까지 남은 시점에 시장의 방향성을 제시하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 마무리

 

FOMC 회의 전후로 시장의 변동성이 매우 크게 발생했던 기간이었다

시장 예측과 동일하게 기준금리가 상승하였지만,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 적인 발언으로 시장이 반등했다는 점은 좋은 소식으로 보인다

다만, 이후에 발표된 지표들이 다음 CPI 발표에 반영된다면 크게 악재로 작용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 외에 국내에도 큰 이슈가 몇가지 있었다

특히, 일론머스크가 소유한 '스타링크'의 국내 도입과 Chat GPT 관련주들의 급등 등이었다

얼마전 로봇 관련주의 급등 다음으로 Chat GPT 관련주들의 급등이 일어났다

일반적으로 상승장에서는 유동성이 순환매를 하는 경향이 있다

약간의 시차를 두고 상승 종목군(테마)가 바뀌는 것인데 개인적으로는 좋은 소식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순환매는 시장의 과열을 일으키거나 종목군의 과도한 상승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시장의 유동성을 불어넣어주고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불어 넣어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도하면 좋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예시로 코로나 시기 코로나 관련주나 마스크 관련주 등이 있다)

 

다음 주에는 Fed 인사들의 발언과 그 외 지표들의 발표들을 유의깊게 살펴보며

이 주는 이렇게 마감해 본다

 

빠용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