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요 금융지표에 공부하고자 한다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 등
전반적인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 이다
금리는 쉽게
돈을 빌린 사람이 일정기간 돈을 사용한 대가로
돈을 빌려준 금용회사에 지급하는 것을 이자라고 하며
기간당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한다
보통 기간에 따라 이자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1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5% 금리로 1년간 1,000만 원 대출을 받는다면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50만 원의 이자를 1년간 지급해야 한다
- 금리의 결정
시장원리는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
금리도 마찬가지다
금리 자체도 하나의 가격이기 때문에
수요는 가계소비, 기업투자 등에 영향을 받고
공급은 가계의 저축행태, 통화정책 등에 달라진다
즉, 자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변하면 금리가 변동되는 것이다
금리는 경제 상황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경기가 호황이 된다면
기업들은 생산과 고용을 늘려 시설을 확장하기 위한 자금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공급량이 부족하다면 더 높은 금리에도 자금을 확보할 것이고
이에 따라 시장의 금리는 시장원리에 맞게 상승하게 된다
- 금리의 영향
금리는 가계 소비, 기업 활동과 국가 간 무역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가계에는 경제활동을 통해 벌어들은 수입의 저축과 소비에서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한 비용과 신규 투자에서
국가 간 무역은 국내외 자금의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등
각 분야에서 중요한 요인이 되는 사항이다
그로 인해 금리는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조정하여
시장금리에 영향을 주고 경제를 안정화한다
요즘처럼 금리의 변동성이 심한 시기에는
아래와 같이 가계와 기업의 대출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을 볼 수 있다
- 금리의 종류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금리라고 하면
각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정하는 기준금리만 알고 있다
하지만 금리는 크게 기준금리, 시장금리,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로 나눠진다
< 기준금리 >
기준금리는 앞서 말한 내용과 동일하게
각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경제 안정화를 위해
정하는 금리를 기준금리라고 한다
국내 물가, 경기 및 금융 상황, 세계경제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금융통화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결정하는 정책금리이다
한국 이외에 각 국가의 중앙은행도
유사한 과정을 거쳐 기준금리를 정한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에 큰 영향을 받는다
미국 기준금리가 3년 3개월 만에 0.25% 증가하였고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Dot Plot 상으로
22년 7번, 23년 4번의 인상을 거친다고 말했으며,
2023년에 기준금리가 2.75%까지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현재 1.25%로 미국에 비해 약 1%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세계 기축통화가 달러이고
달러의 국외 유출 즉, 한국 자본이 외국으로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그 예로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맞춰
한국 주식 시장의 외국인 자본금이 크게 빠져나가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은 아직 선진국에 가까운 신흥국이며
원화는 글로벌 기축통화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는 그만큼 달러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지며
환율에 크게 영향을 받아 쉽게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이 현재 인플레이션을 대비하여 기준금리를 빠르게 인상하였고
한국은행은 보다 빠르게 대응하여 기준금리를 1.0% -> 1.25%로 인상한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그 부분은 차후에 정리하도록 하겠다)
이처럼 기준금리는 일반적으로 가계와 기업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으로 우리가 체감하지만
실질적으로 세계적인 경제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처해야 하는 것이다
기준금리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과
시장금리,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는
다음 포스트에 정리를 해야겠다
금리는 우리 일상 경제와 세계 경제 모두에
큰 영향을 미치기에 자세하게 공부할수록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만 안뇽

'During Stock > Ter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2) (0) | 2022.05.08 |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1) (0) | 2022.05.02 |
환율과 기축통화 (1) | 2022.04.19 |
금리(이자율)(2) (0) | 2022.04.13 |
'KOSPI' 'KOSDAQ' (0) | 2022.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