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ing Stock/Terms

기준금리

듀링이 2022. 10. 4. 23:05
728x90
반응형

잠시 블로그를 접고 현생을 살다 돌아왔습니다!!

그동안... 장이 정말 좋지 않았고ㅠㅠ

멘탈도 살짝 흔들릴 뻔했지만!!

그래도 다시 정신줄 잡고 시작해봅시다!!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는데 앞서

각 국가별 기준 금리에 대해 확인해보겠습니다!!

 


  • 기준금리란?

이전 글에서 금리에 대해 언급했지만

다시 상기하는 의미로 기준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기준금리란?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금리이다

 

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에서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서 결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출금리, 예금금리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

앞서 말한 기준금리는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금리로 보면 된다

즉, 각 은행과 정부기관들이 자유롭게 금리를 변동하지 못하도록

시장의 안정성을 위해 정해진 척도가 된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기준금리는 경제지표와 경제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하고

대출금리와 예금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가 붙어 최종적으로 정해진 최종금리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산금리란 은행과 정부기관이 일종의 수수료 혹은 수익 등을 목적으로 더해진 금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 국가별 기준금리 확인 방법

각 국가별 기준금리는 전부 다르고, 결정 시기도 다르다

쉽게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한국은

한국은행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 홈페이지를 들어가게 되면 위 사진과 같은 모습을 보게 된다

오른쪽 하단에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고,

통화정책 항목을 통해 기준금리 변동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다음 한국 기준금리 발표 일자는 22.10.12로 50bp 상승(0.5%)을 예상하고 있다

 

한국 기준금리 변동 추이

 

다음은 국가별 기준금리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주로 듀링이가 자주 확인하는 사이트는 Investing으로

각 국가별 기준금리 이외에도 실시간 지수, 주가 변동 혹은 다양한 자료들이 구비되어 있으니

항시 참고하여 보기를 바란다!!

 

https://kr.investing.com/central-banks/

 

중앙은행의 이자율 - Investing.com

중앙은행 개요: 주요 중앙은행들의 연설 및 분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kr.investing.com

 

참고로 22.10.04 기준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자이언트 스탭을 3차례 진행하여 3.25%까지 올라간 상태이다

또한, 22.11.02 기준 50bp(0.5%) 혹은 75bp(0.75%) 상승을 예상하고 있다

듀링이는 그냥 안 올렸으면 좋겠다

제발..ㅠ

 

국가별 기준금리

 


  • 기준금리가 중요한 이유

최근 전 세계 시장이 경기 침체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는 뉴스를 볼 수 있다

특히, 그 이면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는 인플레이션 압박에 경제 성장이 정체된 상황이고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억누르려고 하고 있습니다

시장 경제에서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부분이 가격이며,

현재 높아진 가격(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시장의 수요를 강제로 억누르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즉, 시장의 수요와 화폐 유동성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것으로

국가가 개입하여 시장경제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되고 심화되면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을 포함한 소득에 비해 물가 상승이 더 높아

화폐 가치가 바닥으로 떨이지게 됩니다

미국은 COVID-19 당시 엄청난 양의 화폐를 찍어내면서 화폐 유동성을 증가시켰고,

이로 인해 늘어난 화폐를 현재 다시 회수하는 중입니다

 

다만, 현재 시장이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이유라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문제입니다

기준금리를 3차례 자이언트 스탭(0.75% 인상)하여

1년 사이 0.25% -> 3.25%까지 올라가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기준금리로 대출을 받았을 경우

대출이자 10만 원 이자가 1년 사이에 100만 원 이상 올라간 것으로 엄청난 상승입니다

이러한 상승은 경제 참여자 혹은 기업에게 큰 타격을 주고

그로 인해 시장 경제는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오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이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각각 시장에서 반응하는 효과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부동산, 국가 채권 등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너무 복잡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기로 하고!!

 

다시 주식이 상승하길 빌면서

이만 굳밤!